본문 바로가기

임금체불3

아르바이트 최저시급 권리: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노동법 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아르바이트생 역시 이 금액 이상 받을 권리가 있고, 근로계약서 작성, 주휴수당, 임금 체불 대응 등 반드시 알아야 할 제도가 많습니다.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권리를 확실히 지켜보세요.📌 1. 최저시급 10,030원 –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2025년 최저시급 기준: 10,030원아르바이트, 정규직, 계약직, 인턴 모두 최저시급 적용1인 이상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합니다📝 2. 근로계약서 작성은 필수사업주는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서면으로 작성해줘야 합니다. 여기에는 **근무 시간, 시급 또는 월급, 휴게시간, 휴일 정보** 등이 명시되어야 합니다.미작성 시 사업주는 벌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문자나 메신저 기록도 계약 조건 증명자료로 활용.. 2025. 6. 22.
최저시급 위반 판단법: 내 시급이 최저임금보다 적다면? 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근로자가 이보다 적은 시급을 받고 있다면 최저임금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단순한 시급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실제 내 급여가 최저임금 위반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📌 1. 최저임금 기준 요약2025년 시간당 최저임금: 10,030원월급 기준: 2,096,270원 (주 40시간, 주휴수당 포함)적용 대상: 아르바이트, 정규직, 계약직, 수습직 포함 모든 근로자🧮 2. 판단 기준은 ‘시급 기준 환산액’내가 받는 월급이나 주급, 일급이 시급으로 환산했을 때 10,030원보다 낮다면 최저임금법 위반입니다.예시 계산월급 1,800,000원 / 209시간 = 약 8,612원 → 최저시급 미달 ❌일급 7.. 2025. 6. 22.
어린이날 근무수당, 기준 수당부터 대응 방법까지! 어린이날은 유급휴일인가요?어린이날(5월 5일)은 관공서의 공휴일입니다. 2021년부터 상시 5인 이상 사업장은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적용받습니다. 따라서 출근하지 않아도 임금이 보장되며, 출근 시에는 추가 수당이 발생합니다.근무 시 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8시간 이하 근무: 통상임금의 150% 지급8시간 초과 근무: 초과 시간에 대해 통상임금의 200% 지급예시: 시급 10,000원 근로자가 어린이날 10시간 근무 시- 유급휴일 8시간: 10,000 × 8 = 80,000원- 8시간 내 수당: 10,000 × 8 × 0.5 = 40,000원- 초과 2시간 수당: 10,000 × 2 × 1 = 20,000원총 수당: 140,000원월급제 vs 시급제월급제: 유급휴일 수당은 기본급에 포함. 근무 시 가산수당.. 2025. 4. 25.